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기종의 스마트폰에서는 설정에 들어가보면 개발자 옵션이 있는데요.
스마트폰을 설정 및 테스트를 하기 위한 기능이지만 개발자 분들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 분들도 스마트폰의 설정을 위해서 사용하곤 합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는 스마트폰을 구입시에는 개발자 옵션이 숨겨져 있는데요. 설정에 들어가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활성화를 시켜야지 메뉴가 생기게 됩니다.
저는 기존에 비활성화가 되어있다가 스마트폰을 수리하기 위해서 삼성 서비스센터에 맡겼을때 활성화를 해놨더군요. 그럼 개발자옵션 활성화와 비활성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 활성화, 비활성화
스마트폰 실행후에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설정에서 제일 하단에 있는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갈 수가 있는데요. 활성화를 하지 않은 상태라면 휴대전화 정보가 맨 하단에 있습니다. 휴대전화 정보를 터치를 해줍니다.
▼ 휴대전화 정보에서는 아래의 소프트웨어 정보 메뉴를 선택해줍니다.
▼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 정보 페이지가 나오게 되는데요.그중에서 빌드번호를 눌러서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시킬 수가 있습니다. 연속으로 눌러줘야되는데요.
▼ 손가락으로 연타해서 누르게 되면 개발 설정완료 4단계 전입니다. 3단계 전입니다. 2단계 전입니다. 1단계 전입니다.라고 나오게 되고요.
▼ 마지막에 “개발자 모드를 켰습니다.”가 나오면 활성화가 완료 된 것입니다.
▼ 이제 설정으로 들어가주시면 휴대전화 정보 밑에 개발자 옵션 메뉴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 비활성화 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가주신 이후에 사용 버튼을 눌러서 사용안함으로 변경해주시면 비활성화 되서 설정에서 메뉴가 없어지게 됩니다.
애니메이션 배율 조절하기
추가적으로 개발자 옵션에서는 스마트폰을 빨라지게 하는 애니메이션 배율을 조절해볼 수가 있는데요. 창 애니메이션 배율, 전환 효과 애니메이션 배율, Animator 길이 배율을 설정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 3가지 종류의 애니메이션 배율은 기존에는 1배로 되어 있는데요. 0.5배나 애니메이션이 해제된 상태로 설정 해주면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창을 열고 닫거나 화면전환을 할때 체감상으로 빨라진 느낌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설정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